경제
(지디넷코리아=조재환 기자)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전기차의 화재 사고가 또 다시 발생됐다. 정부나 현대차 등이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놔야 할 시점이다.
네이버 전기차사용자모임 카페 등에 따르면, 지난 7일 대구 아파트 실내 주차장 충전기에 충전중이던 코나 전기차가 불에 탔다. 정확한 피해 규모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차량 전체가 불에 탄 큰 사고였다.
코나 전기차의 화재 사고는 지난 2018년 5월 이후 9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전 중이거나 충전 이후에 발생한 사고는 이번 칠곡 사고를 포함해 4번째다. 지난해 7월 캐나다의 한 차고에 있었던 코나 전기차가 불에 탔고, 오스트리아에서도 차량이 불에 타는 사고도 났다. 해외 사고는 충전과 무방한 사고 사례였다.
화재 원인들은 아직도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 일부에서는 블랙박스 배선 등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지만, 차량의 BMS(배터리관리시스템) 문제와도 연관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일반 냉각수를 사용하는 전기차라면, 충전 도중 화재가 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나의 배터리 셀이 문제가 생기면, 일반 냉각수 자체가 촉매 역할을 해 화재를 더 키울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를 방지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내연기관 차량용 냉각수보다 높은 전기 절연성을 자랑하는 전기차용 냉각수를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는 전기차 사용설명서에 전기차 전용 냉각수를 쓰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생산되는 전기차 대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에 다른 부동액이나 물을 보충하면 차량에 문제를 줄 수 있다는 경고사항도 있다. 만약 코나 전기차를 초기에 구매한 소비자라면 자신의 차량에 어떤 냉각수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현대차는 아직까지 코나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밝히지 않고 있다. 또 정부도 코나 전기차 등 다른 전기차의 화재 방지 대책안을 내놓지 않았다. 불안해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양쪽이 서로 협력해 투명하게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 또다른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조재환 기자(jaehwan.cho@zdnet.co.kr)
지디넷코리아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캐딜락, AR 기술 입힌 전기차 '리릭' 공개..양산형 판매 시기 미정
- [조재환의 EV세상] 국산 전기차 판매 부진이 테슬라 탓?
- KST일렉트릭, 진영글로벌과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 협약
- [조재환의 EV세상] 韓 시장 공략하는 佛 도심형 전기차, 성공할까?
- 르노 조에(ZOE) 전기차 출시 임박..국고보조금 736만원
- LG폰은 어떻게 존폐 위기에 서게 됐나
- 네이버,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 6억 달러에 인수
- 이베이, 한국 사업 정리하나…이베이코리아 매각 검토
- 4차위, ‘데이터 거버넌스’ 콘트롤타워 된다
- 디지털 뉴딜로 코로나19 대전환 꾀한다
많이 본 뉴스
- 자동차